「辰韓 諸國의 규모와 정치발전 단계」, 『韓國史學報』 2(고려사학회, 1997)
「『三國史記』 初期記事에 보이는 新羅와 百濟의 戰鬪」, 『韓國史學報』 7(고려사학회, 1999)
「『三國史記』 高句麗本紀의 馬韓에 관한 一考察」, 『史學硏究』 58·59(한국사학회, 1999)
「『三國遺事』 古朝鮮條 인용 『魏書』論」, 『韓國史硏究』 112(한국사연구회, 2001)
「『三國志』 韓傳의 辰王에 대한 재인식」, 『韓國古代史硏究』 26(한국고대사학회, 2002)
「백제초기의 회의체와 南堂」, 『韓國史硏究』 124(한국사연구회, 2004)
「三韓의 기원에 대한 사료적 검토」, 『韓國學報』 31(일지사, 2005)
「Book Reviews: PAI, Constructing “Korean” Origins: A Critical Review of Archaeology, Historiography, and Racial Myth in Korean State-Formaion Theories Myth in Korean State-Formaion Theor」, 『Journal of Inner and East Asian Studies』 vol.1(고구려연구재단, 2005)
「고조선의 왕과 국가형성」, 『북방사논총』 7(고구려연구재단, 2005)
「弁韓의 ‘王’과 狗邪國 -3세기 전반을 중심으로-」, 『韓國史學報』 24(고려사학회, 2006)
「古朝鮮과 燕·齊의 상호관계 -기원전 4세기말~3세기초 전쟁 기사를 중심으로-」, 『史學硏究』 83(한국사학회, 2006)
「삼국사기 도미전의 세계」, 『선사와 고대』 27(한국고대학회, 2007)
「삼국유사 점교 4」, 『한국사학보』 33(고려사학회, 2008)
「삼국유사 점교 5」, 『한국사학보』 32(고려사학회, 2008)
「부여의 왕권과 왕위계승 –2~3세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33(고려사학회, 2008)
「Doubts about the edition of the <Samguk yusa>」,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13(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9)
「사승 『후한서』 동이열전에 대한 예비적 고찰」, 『한국고대사연구』 55(한국고대사학회, 2009)
「삼한의 ‘납일제사’와 부뚜막신앙」, 『한국사학보』 37(고려사학회, 2009)
「箕子 관련 商周靑銅器 銘文과 箕子東來說」, 『선사와 고대』 32(한국고대학회, 2010)
「War and Ritual in Ancient Korea: From the Bronze Age to the Three Kingdoms Era」, 『KOREAN JOURNAL』 51-1 (KOREAN NATL COMMISSION UNESCO, 2011)
「준왕남래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조선유민의 마한 유입과 관련하여-」, 『선사와 고대』 35(한국고대학회, 2011)
「경주 동천동 표암 刻石의 銘文과 역사적 환경」, 『신라문화』 41(신라문화연구소)
「The Interchanges between Koguryǒ and Sun-Wu and “Under the Fruit Hors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18-1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국가형성기의 복합사회와 초기국가」, 『선사와 고대』 38(한국고대학회, 2013)
「신라 초기 國邑과 6村」, 『신라문화』 43(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4)
「신라의 四靈地會議와 和白」, 『신라문화』 44(신라문화연구소, 2014)
「新發現的新羅佛幡石刻和絲綢之路」, 『西部考古』 7(西北大學, 2014)
「古朝鮮과 齊의 해상교류와 遼東」, 『한국사학보』 57(고려사학회, 2014)
「고조선의 정치체제」, 『동북아역사논총』 47(동북아역사재단, 2015)
「古朝鮮의 언어구역과 燕의 동북지역」, 『선사와 고대』 43(한국고대학회, 2015)
「단군기원과 『古記』」, 『한국사학보』 61(고려사학회, 2015)
「箕子朝鮮과 小中華」, 『한국사학보』 65(고려사학회, 2016)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55(동북아역사재단, 2017)
「A New Approach to the Household Register of Lelang(樂浪) Commandery」,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2(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7)
「삼한시기 논쟁의 맥락과 접점」, 『韓國古代史硏究』 87(한국고대사학회, 2017)
「손진태의 사회문화사 연구」, 『민족문화연구』 78(민족문화연구원, 2018)
「伊藤東涯의 『三韓紀畧』 편찬과 조선 연구」, 『사학연구』 129(한국사학회)
「고조선사 체계의 재인식」, 『한국학논총』 50(한국학연구소, 2018)
「三韓의 ‘國邑’에 대한 재인식」, 『韓國古代史硏究』 91(한국고대사학회, 2018)
「17~18세기 일본에서의 발해사 인식과 『三韓紀畧』」, 『韓國史學報』 75(고려사학회, 2019)
「변진사회의 분화와 구야국의 성장」, 『韓國古代史硏究』 94(한국고대사학회, 2019)
「『본조통감』의 상대 기년과 외국 사서의 수용-『일본서기』 기년론과 관련하여-」, 『동북아역사논총』 64(동북아역사재단, 2019)
「(자료소개) 중국 요령성 燈塔市 白巖城 출토 高句麗碑片」, 『한국고대사연구』 94(한국고대사학회, 2019)
「『我邦疆域考』 역주・비평(1) -朝鮮考-」, 『한국사학보』 78(고려사학회, 2020)
「『我邦疆域考』 역주・비평(2) -四郡總考·樂浪考-」, 『한국사학보』 78(고려사학회, 2020)
「『我邦疆域考』 역주・비평(3) -玄菟考-」, 『한국사학보』 78(고려사학회, 2020)
「『我邦疆域考』 역주・비평(4) -臨屯考·眞蕃考-」, 『한국사학보』 78(고려사학회, 2020)
「문헌에 나타난 신라의 성립과 사로국」, 『韓國古代史硏究』 100(한국고대사학회, 2020)
「위만조선의 영역구조와 漢郡縣의 재편」, 『고조선단군학』 46(고조선단군학회, 2021)
「이승휴의 국사편년과 역사의식」, 『민족문화연구』 94(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한국의 ‘고대’와 초기국가」, 『한국고대사연구』 110(한국고대사학회, 2023)
「백제 초기의 영역과 마한」, 『한국사연구』 202(한국사연구회, 2023)